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7 학교 수행평가 잘하는 방법 학교에서 수행평가가 나오면 난감할때가 많죠?수행평가는 해야하고 중간 기말고사 만큼 비중도 높고... 난감 합니다.... 주제가 정해지지 않고 자유주제로 나오면 더 황당하고 몰해야할지 걱정이 많은데 자유주제가 나왔을때 수행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주제 선정수행평가의 주제는 학교교과에 맞춰서 내가 관심이 있고 잘 알고 있는 주제로 하는 것이 좋으며 자신이 재미있고 흥미가 있으면 수행평가의 내용이 좋게 나올것 입니다. 2. 수행평가 계획하기 수행평가를 하기전에는 꼭 시간체크와 기한을 체크해 둡니다. 기한이 언제인지 알면 수행평가 계획을 세웁니다.수행평가를 하는 목적 그리고 주제를 정하는 방법 어떤 내용을 넣고 어떤 방식으로 쓸것인지를 대략적으로 세웁니다. 이렇게 계획을 세우면 좋은.. 2024. 5. 22. 수행평가를 시간은 적게 효율은 높게 수행평가를 학생들에게 나오면 날짜부터 봅니다.시간이 얼마나 남았지? 시간 많네~대충 대충 하지 뭐 하지만 요점은 항상 생각해라 입니다. 이게 왜 학교에서 무슨 주제로 나왔는지?이걸 왜 선생님은 무슨 의도로 이 주제를 주었는지내가 배우는 교과목에 어디에서 나왔는지?난 아직 진로도 없는데 왜 진로와 왜 함께 쓰라는지? 생각을 많이하고 고민하고 이게 무엇을 의도하는지를 파악하지 못하면 수행평가는 망합니다. 회사에 가서도 대학교에 가서도 저사람이 왜 이것을 하라고 하지 선생님은 왜 이걸 주제로 내주었지? 회사에서도 회사의 방향이 무엇이고 내가 내 위치에서 무엇을 해야하지를 생각하고 일하는 사람과그냥 아무생각없이 일하는 사람은 다릅니다. 시키는것만 주어진것만 하는 사람은 언제가 ai에 밀리고 또한 자신의 .. 2024. 5. 13. 2026년 대입 수시 모집 소폭 늘었다. 전국 195개 대학이 2026학년도 대입전형에 수시모집 학생부 위주, 정시모집 수능 위주 선발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전체 모집인원은 지난해보다 4245명 증가한 34만 5179명으로, 수시모집은 27만 5848명, 정시모집은 6만 9331명인 것으로 집계됐고 한국대교협은 195개의 전국 회원대학이 제출한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을 취합해 2일 공표했다고 합니다. 대교협 대학입학전형위원회는 각 대학이 대학교육의 본질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취지를 고려하고 2026학년도 대학 입학전형 기본사항의 대입전형시행계획 수립 원칙을 준수해 대입전형시행계획을 수립할 것을 권고했으며 2026학년도 대입전형시행계획에 따르면 먼저, 전체 모집인원은 2025학년도보다 4245명 증가한 34만 5179명이며.. 2024. 5. 9. 챗 지피티(chat gpt)야 숙제해줘~ 수행평가 해줘~ 과연 이게 정답일까요??? PPT를 처음 만들려고 하면 유튜브를 검색하게 됩니다.학교 숙제는 챗 지피티가 짱이지~이러면서 수행평가를 한 사람과 자신이 어느정도 글을 쓰고 모르는 부분을 AI에게 도움 받아쓰는사람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챗지피티는 만능이 아닙니다.물어보면 다 된다고 하는데????물론 물어보면 다 대답해 줍니다어디서 부터 어디까지 필요한 내용을 대답해 주나요???어떤 사람은 챗지피티에 물어보는게 답답해서자신이 직접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물론 챗지피티에게 주제를 잘 물어보고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이렇게도 말합니다.난 안되던데???어 챗지피티에 뭘 물어봐야하지??? 챗지피티 숙제해줘?이렇게 하면 되나?어 이것도 아닌데...챗지피티야 내가 생각하는걸 맞춰봐???챗지피티가 무슨 도사니?? 무당이냐?그럼 이렇게 .. 2024. 5. 9.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37 다음 반응형